타이완 정부는 북한이 미국 하원의장의 타이완 방문을 비난하며 중국에 대한 내정간섭이라고 주장한 데 대해 타이완 주권에 대한 폄훼라며 강력 규탄했습니다. 민주주의와 자유, 법치를 이룬 타이완은 권위주의 국가인 중국과는 다르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미국 국무부가 북한의 핵실험 준비에 대해 확인된 정보가 없다는 중국 측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했습니다.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7차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다는 평가를 재확인한 것인데, 미국 당국자들 역시 북한이 7차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다는 입장을 거듭 밝히고 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호)
미국은 한국이 국제 무대에서 역할을 확대하고 있는 것을 환영하며 역내 4자 안보협의체 ‘쿼드’와 협력하려는 의지도 주목하고 있다고 미 국무부 부차관보가 밝혔습니다. 쿼드가 역내 국가들의 해상 불법활동 대응과 국제 제재 이행을 지원할 것이라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북한이 핵무기 제조용 플루토늄을 확보하기 위해 원자로를 계속 가동하고 있다고 미국의 핵 전문가가 지적했습니다. 북한이 고준위 핵폐기물을 다루는 역량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중대한 핵 유출 사고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나타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호)
북한이 핵무기 제조용 플루토늄을 확보하기 위해 원자로를 계속 가동하고 있다고 미국의 핵 전문가가 지적했습니다. 북한이 고준위 핵폐기물을 다루는 역량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중대한 핵 유출 사고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표시했습니다.
지속적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실험을 하고 핵 능력을 추구하고 있는 북한은 위협이라고 미국 공군참모총장이 지적했습니다. 미국의 통합 억지력은 북한에도 적용된다며 강력한 미한동맹이 이 같은 억지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조명수)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미국과 한국을 향해 군사적 위협을 하며 공개 비난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특히 원색적인 표현으로 윤석열 대통령과 한국 정부와 미한 연합훈련을 비난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예상된 행보라며 핵실험 명분 쌓기와 한국 정부를 상대로 한 주도권 선점 차원의 발언으로 분석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훈)
북한은 지속적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실험을 하고 핵 능력을 추구하고 있는 위협이라고 미국 공군참모총장이 지적했습니다. 미국의 통합 억지력은 북한에도 적용된다며 강력한 미한동맹이 이 같은 억지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이 7차 핵실험을 감행할 경우 더 강력한 국제사회의 제재와 외교적 고립에 직면할 것이라고 한국 외교부 장관이 경고했습니다. 한국을 방문한 미국 국무부 정무차관은 한국 외교 고위 당국자들을 잇따라 만나 미한 관계와 대북정책 로드맵 등 현안을 논의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김형진 / 영상편집: 김정호)
한국전 정전협정이 맺어진 지 70년이 다 됐지만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고 전직 주한미군사령관들이 지적했습니다. 강력한 미한동맹이 북한의 비핵화와 역내 평화를 이끌 것이라면서 한반도 평화 구축을 위한 동맹 강화의 중요성도 강조했습니다.
북한이 7차 핵실험 준비를 마무리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미군과 한국군이 세계 최강의 공격 헬기를 동원한 훈련을 각각 펼쳤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들 헬기가 북한의 주요 전력에 대응할 수 있는 공격 능력을 갖췄다면서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대한 경고 메시지로 분석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호)
중국이 인도태평양 역내 규칙 기반 질서를 무너뜨리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며 역내 동맹의 한계를 시험하고 있다고 미국 국방부 인도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지적했습니다. 중국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동맹국들과의 지속적인 협력의 중요성도 강조했습니다.
한국전쟁 미군 참전용사로 27일 제막식이 열리는 한국전 전사자 추모의 벽 건립을 주도했던 고 윌리엄 웨버 예비역 대령의 유가족이 한국전쟁은 자유와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매우 가치있는 전쟁이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다시는 같은 비극을 겪지 않도록 후대에 한국전쟁의 의미를 제대로 알려줘야 한다고 점도 강조했습니다.
미국과 한국의 국방장관이 오는 29일 미국 워싱턴에서 회담을 갖고 한반도 안보 정세를 비롯한 확장억제 실행력 제고 방안을 협의합니다. 미한 북핵 수석대표들은 인도네시아에서 회담을 갖고 북한의 비핵화 로드맵 등 현안을 논의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호)
북한의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현대화 움직임은 진전된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미국의 위성 전문가가 분석했습니다. 서해위성발사장이 평화적 목적이라는 북한의 주장과는 달리 군사적 목적으로 운용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조명수)
북한의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현대화 움직임은 진전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미국 위성 전문가가 분석했습니다. 서해위성발사장이 평화적 목적이라는 북한 주장과는 달리 군사적 목적으로 운용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한국의 윤석열 정부가 지난 5년간 공석이었던 북한인권대사를 임명한 데 대해 미국의 인권 전문가들은 잇따라 환영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들 전문가들은 미국 바이든 행정부도 더 이상 지체하지 말고 조속히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를 임명할 것도 촉구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훈)
북한이 최근 우크라이나 내 친러시아 공화국들을 독립국으로 승인한 것에 대해 유럽연합(EU)이 국제법 위반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북한에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는 추가 도발을 자제할 것도 촉구했습니다.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한국을 방문해 미한 양국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을 저지하기 위해 협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탄력성 있는 공급망 구축을 위한 한국과의 협력을 강조하면서 국제질서를 위반하는 국가들은 가혹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호)
한국 정부가 문재인 정부 시절 벌어진 탈북 어민 북송 사건에 대해 이들을 북한으로 보내던 당시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어민들이 포승줄에 묶여 군사분계선을 넘지 않으려 안간힘을 쓰는 모습이 고스란히 담겼는데, 한국 대통령실은 국내법의 보호를 받아야 할 국민을 강제 북송한 사건이라며 철저한 조사를 거듭 강조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규)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