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문재인 정부가 북한 최전방 군인들에게 보내던 확성기 방송을 중단한 조치에 대해 우려와 기대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한 전문가는 자유롭게 개방된 한국과 세계 최악의 반인륜적인 독재국가를 상호주의로 묶을 수 없다며 확성기 방송 중단이 중·장기적으로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말했습니다.
북한의 핵·미사일 실험 중단과 핵 실험장 폐기 발표에 대해 백악관 참모들과 전문가들 다수가 의구심과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고 미 유력 언론들이 전했습니다.
중국 당국이 최근 체포한 탈북민들 가운데 중국인과 결혼한 탈북 여성 30명을 한꺼번에 석방한 것으로 알려져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탈북 지원단체 관계자들은 중국 당국의 정책이 바뀐 것이라면 매우 긍정적이지만, 좀 더 지켜봐야 한다며 신중한 반응입니다.
올해 1~3월에 한국에 입국한 탈북민이 192명에 불과해 예년보다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 추세라면 2000년 이후 탈북민 입국 규모가 가장 적은 해로 기록될 전망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한국 청와대가 종전 선언과 평화협정 체제 전환에 대해 언급하면서 한반도 평화협정이 새삼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평화협정은 북한 정권이 정전협정 직후부터 수십 년간 주장해온 사안이지만, 과거 언급을 보면 말을 자주 바꿔 일관성이 없다는 지적입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7일 남북 정상회담에서 납북자 문제 등 인권 문제에 전향적 자세를 보인다면 정상국가 지도자로 인정받는 좋은 출발이 될 것이라고 전문가와 인권단체 관계자들이 말했습니다.
남북 정상회담이 열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한반도 분단으로 잊힌 사람들에게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전쟁 포로와 납북자 문제입니다.
미국과 영국, 프랑스의 시리아 내 화학무기 시설 공습이 북한에 미칠 영향에 관해 미국에서 견해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미국과 한국이 북한과의 정상회담에서 핵뿐 아니라 인권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회담에서 다뤄야 할 인권 사안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전문가들의 제안과 유엔의 그동안 권고를 통해 알아봅니다.
11년 만에 개최되는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VOA에서는 회담의 다양한 측면과 변수를 미국의 시각에서 진단하는 특집 기획을 마련했습니다. 세 번째 순서로 남북 정상회담이 미북 정상회담에 미칠 파급 효과를 살펴봅니다.
전세계 200개 이상의 비정부기구를 대표하는 40개 인권단체들이 문재인 한국 대통령에게 공개서한을 보냈습니다. 27일 열릴 남북정상회담 의제에 북한 인권 문제를 포함해 달라는 요구를 담았습니다.
북한 정권의 최근 유화적 공세와 김정은 국무위원장 부부의 중국 방문, 그리고 리설주에 대한 호칭 변화에는 모두 정상국가로 인정받으려는 의도가 있다고 전문가들이 풀이했습니다. 하지만 국제사회에서 정상국가로 대접받으려면 실질적인 국내외 정책이 모두 변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한국 예술단의 평양 공연에 대해 미국에 사는 탈북 난민들은 “슬프고 씁쓸하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일부는 남북이 한민족이란 것을 보여주는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클린턴과 오바마 행정부에 몸담았던 전직 고위관리들이 잇달아 미-북 정상회담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준비할 시간과 전문 인력이 모두 부족하기 때문에 너무 큰 기대를 하지 않거나 회담을 연기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 예술단의 평양공연은 북한 정권의 선전 캠페인으로 북한 주민들에게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미국의 일부 전문가들이 평가했습니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보좌관으로 임명된 존 볼튼 전 유엔주재 대사는 오랫동안 북한 정권에 매우 강경한 대응을 촉구해 왔습니다. 북한 정권과는 대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권 교체와 무력 사용도 배제해서는 안 된다는 겁니다.
북한 정부가 대북 지원에 대해 훨씬 높은 수준의 투명성 등을 보장해야 지원을 재개할 수 있다고 세계기금(The Global Fund)이 ‘VOA’에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정책을 지지하는 미국인들이 늘고 있는 것은 최대 압박 캠페인이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라고 백악관 관리가 VOA에 밝혔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