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의 이동통신 협력은 서로의 정보 격차를 해소하고 경제성장을 주도할 수 있는 촉진제가 될 것이라고 한국의 이동통신 전문가가 말했습니다.
남북정상회담에서 북한의 인권 사안이 제기되길 바란다고 유엔과 미국의 전직 관리들이 말했습니다. 남북관계 개선도 중요하지만, 인권을 제기하지 않고 장기적인 안보와 신뢰 있는 비핵화는 불가능하다는 지적입니다.
EU가 유엔총회에서 다시 북한인권결의안을 제출할 예정이라고 확인했습니다. 북한과의 관계 개선 기류 등 외부요인과 상관없이 인권 상황을 평가하는 데만 집중한다는 방침입니다.
18일 개막하는 73차 유엔총회를 앞두고 유엔의 북한 인권 논의가 최근의 대화 기류로 인해 약화돼선 안 된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북한 인권 문제를 다뤘던 미 전직 관리들과 전문가들은 특히 유엔총회에서 또다시 채택될 북한인권결의안 수위에 주목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인권특사를 조속히 임명해 대북 협상에서 인권 문제를 다뤄야 한다고 미 전직 관리들이 촉구했습니다. 미 정부가 전략적 접근을 통해 인권 사안을 북한과의 협상에 포함해야 한다는 겁니다.
일본은 북한의 현존하는 위협에 취약하기 때문에 유사시 선제 타격을 할 수 있는 장거리 미사일이 필요하다고, 워싱턴을 방문한 구로에 데쓰로 일본 국가안전보장회의 특보가 밝혔습니다.
북한이 9일 정권 수립 70주년 기념으로 집단체조를 재개한 것은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집단적인 인권 침해를 재개한 것과 같다고 미국의 인권 전문가들과 탈북민들이 지적했습니다.
최근의 한반도 화해 분위기는 북한의 가혹한 인권 침해를 제기할 역사적인 기회라고 미첼 바첼레트 신임 유엔인권최고대표가 말했습니다.
한반도 종전선언을 하려면 북한이 군사분계선에 근접 배치한 장사정포를 철수하는 게 좋은 교환 조건이 될 것이라고 빅터 차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 한국석좌가 VOA와의 인터뷰에서 제의했습니다.
북한 기관지가 최근 USB를 통해 외부 정보를 북한에 보내는 미 단체의 운동을 강하게 비난했습니다. 이 단체는 외부 정보 파급을 두려워하는 북한 정권의 속내를 입증하는 것이라며 정보 유입 운동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 대통령의 대북 특별사절단의 방북 결과에 다시 인권 문제가 빠진 것은 근원적인 실책이 될 것이라고 미국의 전직 인권 담당 관리가 말했습니다.
유엔 인종차별철폐위원회가 중국 정부의 탈북민 강제 북송 정책에 거듭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북한에 정치범수용소가 존재하는 한 남북·미북 관계 정상화는 불가능할 것이라고 미 전문가가 지적했습니다.
북한 정부가 이산가족을 정치적 볼모로 삼고 일부만 선별해 상봉을 허용하는 것은 야만적인 방법이라고 마이클 커비 전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장이 VOA와의 인터뷰에서 지적했습니다.
북한 정치범수용소 내 수감자들을 촬영한 민간 위성사진이 처음으로 공개됐습니다.
북한 정부가 장마당으로부터 연간 5천 600만 달러 이상의 세금을 걷어들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북한은 일본의 국가안보에 여전히 심각하고 임박한 위협이라고 일본 정부가 새 방위백서에서 밝혔습니다.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남북한 이산가족 상봉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촉구했습니다. 북한 당국의 감시 없이 보다 다양한 장소에서 장기간의 만남이 허용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마이크 폼페오 국무부 장관이 북한 방문 중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만날 계획은 없다고 국무부가 밝혔습니다.
한국이 국방백서에서 북한 정권과 북한군을 적이라고 표현한 문구를 삭제하는 것은 미-한 동맹의 방어태세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미 군사 전문가들이 말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