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주민들의 자유와 인권을 촉구하는 제16회 북한자유주간이 오는 28일부터 워싱턴에서 열립니다.
일본 정부가 새 외교청서에서 대북 `최대 압박'이란 표현을 삭제하는 등 북한에 유화적인 자세를 보였습니다. 일본의 주요 정치 현안인 납북자 문제를 조기에 해결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됩니다.
미국에 입국하는 탈북 난민이 사실상 정체 상태에 있습니다. 국무부는 지난 6개월 동안 2019회계연도에 입국한 난민이 1명이라고 밝혔습니다.
워싱턴에서 11일 열릴 미-한 정상회담을 전후해 북한의 인권 개선을 촉구하는 행사들이 미국에서 잇따라 열리고 있습니다.
주한미군이 최근 발생한 강원도 산불 진화 작업을 지원한 것은 미-한 동맹이 군사 협력을 뛰어넘어 포괄적인 협력 관계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전직 미군 관리들이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국무부 국제형사사법대사에 북한 인권 전문가인 모르스 단 북일리노이대 교수를 지명했습니다. 향후 북한 인권 사안에도 깊이 관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영국 호위함이 지난달 북한의 불법 환적 현장을 확인해 자료를 유엔에 보고했다고 영국 정부가 공식 확인했습니다.
유럽연합이 북한 내 식량 등 인도적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VOA에 밝혔습니다. 하지만 식량 지원 여부에 관해서는 확인하지 않았습니다.
일본인 납북자들과 북한에 억류된 한국인들에 대한 관심이 국제사회에 매우 대조적으로 비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다음달 워싱턴에서 관련 국제회의를 개최하는 등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지만, 북한에 억류 중인 한국인 6명은 거의 잊혀진 상황이라는 게 미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미국에 정착해 사는 탈북 난민들이 최근 대북 반체제 활동을 적극 펼치는 단체 ‘자유조선’을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정권이 인권을 개선하고 개혁·개방 결단을 하지 않으면 ‘자유조선’같은 반체제 단체들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미국의 전문가들이 전망했습니다. ‘자유조선’은 31일 김정은 정권이 자유의 명령을 거부할수록 수치를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한국 내 탈북민들은 문화적 소통 방식의 차이 때문에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성공적인 정착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정착지원 기관의 당국자가 말했습니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미-한 동맹에 흠집이 나 있어 걱정스럽다며, 이를 수선하고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인 10명 중 6명은 미국의 확장억제를 신뢰하고 주한미군의 역할도 높이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0세 이상과 40대 이하 젊은 남성일수록 주한미군의 역할을 더 신뢰했고 30~40대 여성은 미군을 신뢰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상대적으로 훨씬 많았습니다.
북한 정부가 22일 일방적으로 개성연락사무소에서 철수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유감을 표했습니다.
많은 한국 국민이 남북정상회담 등으로 북한의 인권 상황이 개선된 것으로 오해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전문가들은 향후 남북 사회통합에 대비해 북한 내 인권 상황을 정확히 알리고 개선을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 집권당의 외신 기자 비난 성명으로 촉발된 논란에 대해 청와대가 언론자유를 완벽하게 보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집권 여당도 사과 성명을 발표했는데요.
미국과 북한이 비핵화 최종 목표에 포괄적으로 합의하고 이를 단계적으로 이행하도록 하는 촉진자 역할을 한국 정부가 지속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한국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미국과의 비핵화 대화와 핵·미사일 시험 유예를 계속할지 여부를 곧 결정할 것이라고 북한 고위 당국자가 밝혔습니다.
김정은 정권 출범 이후 실시된 북한의 농업 개혁 조치가 식량안보 개선에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 정부가 비핵화 결단과 외부의 지원·경협, 개혁 조치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도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