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북한 비핵화에 대한 점진적인 접근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한 데 대해 한국에서는 다양한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근 수령을 신비화하지 말라는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져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북한 주민들의 달라진 정보 의식을 반영한 것이라는 지적과, 인간적인 영도자 이미지를 강조하려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에 거주하는 탈북민들 가운데 62%가 북한의 가족에게 송금하고 있고, 47%는 연락을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탈북민의 소득 수준이 일반 국민의 65~70%로 낮은데도 고향의 가족을 생각해 열심히 송금하고 있는 겁니다.
북한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의 시설 복구 움직임이 당장 미사일 발사로 이어질 가능성은 매우 적다고 태영호 전 영국주재 북한 공사 등 한국 내 전문가들이 전망했습니다.
한국 내 일부 전문가들은 2차 미-북 정상회담의 결렬로 북한 내부적으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위상에 타격이 예상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번 회담을 계기로 미-북 양측이 앞으로 실질적인 협상을 할 기회가 생겼다는 지적도 제기됐습니다.
미군과 한국군의 연합군사연습인 키 리졸브와 독수리 훈련의 종료를 놓고 한국 내에서 찬반 논쟁이 가열되고 있습니다. 비핵화 외교의 동력 유지를 위해 불가피한 조치란 지적과 연합방어태세를 약화시켜 안보를 약화시킨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일부터 이틀 일정의 베트남 공식우호방문을 시작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일정을 앞당겨 내일 귀국길에 오를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이 트럼트 대통령의 기자회견 내용을 반박하는 다른 입장을 밝혔습니다. 북한이 요구한 것은 전면적인 제재가 아닌 일부 해제였다며 이런 기회가 다시 오기 힘들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합의가 결렬된 뒤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은 아무 반응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어 북한 측은 심야 긴급회견을 통해 북한이 요구했던 협상 내용을 밝혔는데, 영변 핵시설에 국한한 제안을 했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하노이에서 김영권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 김형진 / 영상편집 : 조명수)
2차 미-북 정상회담이 결렬된 배경에는 양측이 비핵화와 제재 해제란 첨예한 이견을 좁히지 못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하노이 정상회담이 결렬된 데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였습니다. 나쁜 협상에 합의하지 않은 게 적절했다는 반응과, 끔찍하다는 평가가 엇갈렸습니다.
2차 미-북 정상회담이 결렬됐다고 백악관이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곧 기자회견을 할 예정입니다. 하노이에서 김영권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7일 베트남 경제 모델을 거듭 강조하며 북한의 비핵화를 촉구했습니다. 베트남 고위 외교 관리는 ‘VOA’에 베트남은 북한 등 전 세계와 서로의 경험을 배우고 나누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미-북 정상회담이 열리는 베트남의 하노이 시민들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과거의 아픔보다 미래를 봤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하노이의 발전상을 보고 군사력보다 주민들의 삶 개선에 집중했으면 좋겠다는 바람도 나타냈습니다.
2차 미-북 정상회담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베트남 정부는 하노이의 경비를 최대 수준으로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미-북 정상이 묵을 것으로 알려진 숙소 주변에는 두 나라 경호요원들이 바쁘게 움직이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베트남 정부가 2차 미-북 정상회담을 활용해 평화와 안전, 관광 이미지를 대대적으로 강조하고 있습니다. 성공적인 회담 개최를 통해 국가 브렌드 홍보와 이익을 극대화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북한이 미국 고위 당국자의 언급처럼 대량살상무기와 미사일 프로그램을 동결한다면 의미는 있겠지만, 이를 과대평가 해서는 안 된다고 한국의 전직 고위 관리들이 말했습니다.
문재인 한국 대통령이 최근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한국이 북한의 비핵화 견인을 위해 상응 조치를 떠맡을 의지가 있다고 밝히면서 남북 경협 사업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국제사회를 통한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을 보다 적극적으로 펼칠 필요가 있다고 ‘세이브 더 칠드런 코리아’의 오준 이사장이 말했습니다.
과거 ‘서울시 공무원 간첩 조작 사건’의 피해자가 정보 당국 수사관들과 검사들을 고소했습니다. 최근 검찰 과거사위원회의 새 진상조사 발표에 따라 관련자들을 철저히 처벌해 재발을 막아야 한다는 겁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