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가 최근 발표한 북한 보고서 ‘권리의 대가’는 생존을 위한 북한 주민들의 기본권 행사와 뇌물이 국제법에 어떻게 위배되는지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북한 국민 10명 가운데 4명 만이 전기를 공급받고 있다고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 공동보고서가 밝혔습니다. 북한처럼 낮은 전기 보급률을 기록한 나라는 대부분 사하라 사막 이남의 가난한 나라들이었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강양우)
북한 인구 10명 중 4명 만이 전기를 공급받고 있다고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 공동보고서가 밝혔습니다. 북한처럼 낮은 전기 보급률을 기록한 나라는 대부분 사하라 사막 이남의 가난한 나라들이었습니다.
유엔 식량기구들이 긴급 대북 식량 지원을 국제사회에 호소하고 있지만, 식량 지원은 목표액의 2.4% 등 인도적 지원 전체 목표액의 10%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문가들은 지원 분배의 투명성이 확보돼야 더 많은 공여국이 나타날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김선명 / 영상편집: 김정호)
유엔 식량기구들이 긴급 대북식량 지원을 국제사회에 호소하고 있지만 반응은 냉랭합니다. 인도적 지원을 위한 모금액이 목표의 10%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영국은 중국 정부에 탈북민을 강제 북송하지 말 것을 계속 강조할 것이라고 영국 고위 관리가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영국 옥스퍼드 대학에서는 인신매매 피해를 겪었던 탈북 여성 2명이 북한의 인권 참상을 증언하는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이도원 / 영상편집: 김정호)
북한 정부가 김정은 국무 위원장을 “폭군”으로 부른 조 바이든 전 미국 부통령을 “최고존엄”을 모독했다며 강하게 비난했습니다.
지현아 씨와 김정아 씨 등 탈북 여성 2명이 21일 영국 옥스퍼드 대학에서 북한의 인권 실상에 관해 증언했습니다. 지현아 씨는 중국계 학생들이 탈북 여성들의 열악한 삶을 들으며 눈물을 흘렸다고 말했습니다.
영국은 중국 정부에 탈북민을 강제 북송하지 말 것을 계속 강조할 것이라고 영국 고위 관리가 말했습니다.
많은 북한 여성과 소녀들이 중국에서 성노예로 팔려가고 있으며 ‘매매’ 규모가 연간 1억 달러를 넘는다는 민간 보고서가 영국에서 나왔습니다.
유엔 식량기구들이 북한의 식량난이 심각하다며 지원을 촉구하는데, 정작 북한 관리들은 국제사회에 식량 개선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북한 정부가 제재 해제를 위한 정치적 도구로 식량난을 활용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이도원 / 영상편집: 김정호)
유엔 식량기구들과 한국 정부가 북한의 식량난이 심각하다며 지원을 촉구하는데, 정작 북한 관리들은 국제사회에 식량 상황 개선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북한 정부가 제재 해제를 위한 정치적 도구로 식량난을 활용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 국무부가 최근 중국 공안에 체포된 탈북자 7명과 관련해 우려를 나타내며, 중국에 난민 보호를 촉구했습니다.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중국 정부에 이들의 북송 중단을 촉구하는 서한을 보냈다고 밝혔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이도원 / 영상편집: 조명수)
토마스 오헤아 퀸타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중국 정부에 구금중인 탈북민 7명을 북송하지 말 것을 촉구하는 서한을 보냈다고 VOA와의 인터뷰에서 밝혔습니다.
북한 정부는 국가 재정을 미사일이 아닌 주민들의 식량 등 민생에 투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국제사회에서 커지고 있습니다. 북한이 군사비에 지출하는 엄청난 돈을 식량 개선에 투입하면 만성적인 식량난은 해결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이도원 / 영상편집: 조명수)
북한 정부는 국가 재정을 미사일이 아닌 주민들의 식량 등 민생에 투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국제사회에서 커지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지난달 체포된 탈북민 7명이 아직 북송되지 않은 채 랴오닝성의 한 구금 시설에 갇혀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 국면 속에서도 유엔과 한국의 대북 지원 논의가 계속되면서, 분배의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미 전직 관리들은 인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현장 감시 등 대북 지원 원칙이 철저히 지켜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이도원 / 영상편집: 강양우)
북한이 유엔 인권이사회의 보편적 정례검토, UPR에서 제시된 인권 개선 권고안 262건 가운데 63건을 거부한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 국면 속에서도 유엔과 한국의 대북 지원 논의가 계속되면서 분배의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