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대통령의 한국 방문 결과에 대해 미국 의회 내 민주당 소속 의원들과 공화당 소속 의원들의 평가가 엇갈립니다. 여당인 민주당 의원들은 한국 기업들의 ‘미국 투자유치 성과’를 띄우는 빈면에 야당인 공화당의 일각에서는 트럼프 행정부 당시 최대 대북 압박 캠페인을 복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조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이상훈 / 영상편집: 김정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한국과 일본을 순방 중인 가운데,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들은 바이든 대통령에게 인도태평양 지역에 대한 경제 전략 강화를 촉구하는 서한을 발송했습니다. 의원들은 5가지 방안을 제언했는데, 한국 등과 역내 전략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협력을 늘려야 한다는 내용도 담겼습니다. 이조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김선명 / 영상편집: 이상훈)
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후 첫 아시아 순방에 나선 가운데 공화당 상원의원들이 바이든 대통령에게 인도태평양 지역에 대한 경제 전략을 강화할 것을 촉구하는 서한을 발송했습니다. 5가지 제안 중에 한국 등과 역내 전략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협력을 늘려야 한다는 내용도 담겼습니다.
미국 북부사령관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위협을 거론하며 차세대 요격기 배치 필요성을 또다시 강조했습니다. 북한이 점점 더 복잡하고 성능이 뛰어난 전략 무기를 계속 개발하고 있다는 이유를 들었습니다.
최근 한국 윤석열 대통령 취임식에 미국 측 사절단으로 방한했던 민주당의 아미 베라 하원의원이 북한이 핵실험을 재개하면 미국은 한국, 일본 등과 함께 제재로 대응할 것을 확신한다며 북한에 추가 도발을 자제할 것을 경고했습니다. 또 오는 21일 미한 정상회담에서 북한에 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백신과 치료제 지원을 위한 양국 간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베라 의원을 이조은 기자가 인터뷰했습니다. (영상취재: 김선명 / 영상편집: 이상훈)
아미 베라 미국 연방 하원의원은 미한 정상회담을 전후해 북한이 군사 도발을 감행할 경우 미국의 추가 제재가 뒤따를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하원 외교위 아태 소위원장을 맡고 있는 베라 의원은 18일 VOA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한국 새 정부와 바이든 행정부는 대화에 열려있다며 북한이 더 나은 선택을 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최근 한국 윤석열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하기도 했던 베라 의원은 21일 열리는 미한 정상회담에서 북한에 대한 코로나바이러스 백신과 치료제 지원을 위한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미국 국방부 우주 정책 담당 차관보가 한국 등 동맹국에 대한 확장 억지 제공 의지를 재확인했습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은 대부분 핵 탑재 역량을 갖췄다고도 평가했습니다. 이조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훈)
북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한 발열자가 급증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관련 지원이 대북제재 때문에 차질을 빚어선 안 된다는 지적이 미 의회에서 나왔습니다. 북한의 열악한 의료 실태에 대한 민주당 하원의원의 우려 섞인 반응인데, 미 의회에선 지원 물자에 대한 철저한 분배 감시를 우선시하는 목소리가 우세합니다.
미국 국방부 우주 정책 담당 차관보가 한국 등 동맹국에 대한 확장 억지 제공 의지를 재확인했습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은 대부분 핵 탑재 역량을 갖췄다고도 평가했습니다.
북한 당국이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사실을 시인한 가운데 미국 의회에 발의된 북한인권법 연장 법안에 코로나 관련 대북 지원에 대한 의회 내 견해가 처음으로 명기됐습니다. 국제단체들이 독립적 평가에 기초한 현장 지원 활동을 북한이 허용해야 한다는 의회의 입장이 법안에 담긴 것입니다. 이조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김선명 / 영상편집: 이상훈)
북한 당국이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사실을 공식적으로 발표한 가운데 미국 의회에 발의된 북한인권법 연장 법안에 코로나 관련 대북 지원에 대한 의회 내 기조가 처음으로 명기돼 주목됩니다. 국제단체들이 독립적 평가에 기초해 현장 지원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북한이 허용해야 한다는 의회의 입장이 법안에 담겼습니다.
오는 21일 미한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 의회 내에서는 새로 출범한 한국의 윤석열 정부가 중국 문제와 관련해 미국과의 협력에 더욱 적극적인 자세를 취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한국에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이번 정상회담은 인도태평양 역내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중요한 변곡점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가 큽니다. 이조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규)
US Senators Marco Rubio and Tim Kaine introduced a bipartisan bill that would allow the US to continue to promote human rights in North Korea for the next five years
미한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 의회 내에서는 새로 들어선 한국의 윤석열 정부가 중국 문제와 관련해 미국과의 협력에 더욱 적극적인 자세를 취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한국에 새 정부가 들어선 가운데 이 시기가 인도태평양 역내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중요한 변곡점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독일은 북한의 최근 일련의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를 강력히 규탄한다며, “북한은 미국과 한국이 제시한 거듭된 대화 제의를 수용하는 대신 다시 한번 유엔 안보리 결의에 의해 규정된 의무를 위반하고 역내와 국제 안정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미국 연방 하원의원들은 올해 처음 열린 의회 대북정책 점검 청문회에서 오랫동안 진전이 없는 북한 문제에 대한 피로감을 드러내면서도 미국이 할 수 있는 일이 남아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 은행을 성토하는 목소리가 높았는데, 북한의 제한적인 핵보유를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북한인권법을 5년 더 연장하도록 하는 법안이 미국 하원에 이어 상원에서도 발의됐습니다. 법안을 대표 발의한 마르코 루비오 공화당 상원의원은 미국이 북한 인권과 탈북민 보호를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이 미 의회의 올해 첫 대북 정책 청문회에 출석해 북한의 추가 도발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북한에 대한 금융 제재와 정보 유입 노력을 강화할 것을 바이든 행정부에 제언했습니다. 북한의 새로운 사이버 작전을 단속하기 위해 국제 사법 기관들과 공조가 필요하다고도 밝혔습니다.
미국 의회 상원에 발의된 동남아시아국가연합, 아세안 관련 결의안에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의 완전한 이행을 촉구하는 내용이 포함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의 연방 의원들은 한국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을 축하하며 한국과의 전략적 동맹 강화와 공유 가치 확대에 대한 기대감을 표했습니다. 이조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규)
미 국방장관이 북한을 또다시 ‘지속적인 위협’으로 규정하며 이런 위협을 간과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이 핵과 미사일 역량을 개발하며 미국에 끊임없는 위협이 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