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강력한 코로나 방역 조치로 3년 전 현지 공관을 폐쇄한 체코가 평양 복귀를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일찌감치 평양을 떠났던 국제기구들도 구호 활동 재개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습니다
유엔 인권기구는 탈북민 강제 북송을 막기 위해 중국을 압박할 것을 촉구하는 미 의원들의 서한에 관련 문제를 중국 정부에 제기했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의 인권이사국 자격을 정지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유엔이 4년 연속 북한을 인도지원 대상국에서 제외했습니다. 유엔은 국제 직원들의 조속한 북한 복귀 중요성을 강조하며 대북 지원 재개를 희망했습니다.
미국의 상하원 의원들이 중국의 탈북민 강제북송을 저지하기 위해 유엔의 역할을 촉구하는 서한을 해당 기구에 보냈습니다. 의원들은 중국이 탈북민 보호 조치에 나서기 전까지 중국의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 자격을 정지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안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훈)
미국의 상하원의원들이 중국의 탈북민 강제 북송을 비판하며 유엔이 이를 막기 위한 행동에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특히 중국이 국제 의무를 준수할 때까지 인권이사국 자격을 정지하는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미국과 한국, 일본, 호주가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에 대응해 동시에 대북 독자 제재를 단행한 데 대해 유럽연합(EU)가 “우리는 그 같은 결정에 주목한다”고 밝혔습니다.
유엔 산하 세계식량기구(WFP)가 국제 직원들이 북한에서 대북 사업 운영과 관련한 모니터링을 할 수 있을 때까지 대북 지원을 재개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미국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외교관으로 꼽히는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이 100세를 일기로 타계했습니다. 미국의 전직 관리들은 역사적 경험과 혜안을 가진 뛰어난 외교관이었으며, 북한 문제와 관련해선 중국의 역할을 강조했다고 회고했습니다.
탈북민 강제 북송에 반대하는 다자 공동성명이 조만간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한국 북한인권대사가 밝혔습니다. 중국에 대한 공개적, 직접적 비난보다 신중한 외교가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한국 정부가 내년 12개국에 외교 공관을 추가로 개설한다고 밝힌 가운데 해당 유럽 국가들은 한국과의 폭넓은 협력을 기대한다며 환영했습니다. 한국을 아시아 내 핵심 파트너로 지칭하면서 인공지능과 과학기술, 문화,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가속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 카이스트와 홍콩과기대, 싱가포르국립대 등 국제연구진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해 북한의 경제 상황을 파악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홍콩과기대의 박상윤 교수는 27일 VOA와의 인터뷰에서 기계와 인간의 협업으로 이뤄진 이번 연구에서 대북제재로 대도시와 농촌간 경제 발전 격차가 심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보 반 트엉 베트남 국가주석이 27일 일본 도쿄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최근 한반도 정세 등을 논의했습니다.
미국과 유럽연합이 국제원자력기구 정기이사회에서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며 무기 개발을 지속하는 북한을 규탄했습니다.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재확인하고 북한에 구체적인 비핵화 조치에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캐나다가 북한의 조직적인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해 유엔의 북한인권결의안을 계속 지지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스웨덴은 북한이 인권을 존중하고 보호할 국제법상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주요7개국(G7) 외교장관들이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비판하며 국제 의무 준수를 촉구했습니다. 러시아의 핵과 미사일 기술이 북한으로 이전될 가능성에 대한 깊은 우려도 표명했습니다.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은 22일 “북한이 다수의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고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해 군사위성을 발사한 것을 강력하게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유럽연합은 북한이 3차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감행한 데 대해 유엔 안보리 결의 준수를 촉구했습니다. 국제해사기구는 다음 주 열리는 총회에서 관련 문제가 논의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 들어 한국의 대미 투자가 크게 늘었다고 백악관이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양국 관계가 동등한 파트너로 격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합니다.
북한이 신형 중거리탄도미사일용 고체연료 엔진 시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한 데 대해 유엔과 유럽연합이 안보리 결의를 준수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유럽연합이 탈북민 강제북송 문제에 대해 중대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모든 유엔 회원국이 강제송환금지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는 한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