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유급 출산휴가와 보조금 제도는 당국의 선전과 달리 여성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거의 없다고 탈북 여성들과 전문가들이 지적했습니다. 명목상의 임금 지급보다는 쌀과 식료품 등 산모의 건강 회복에 도움을 주는 배급과 한국의 산후조리원 같은 요양 시설을 북한 당국이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제안이 나왔습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유엔 인권이사회 연설을 통해 북한인권 결의안 채택을 촉구했습니다. 또 바이든 행정부는 민주주의와 인권을 외교 정책의 중심에 두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 내 인권 침해 장소와 사건 정보를 구글 위성 지도로 시각화해 제공하는 사이트가 최근 새롭게 단장돼 오픈했습니다. 디지털 기술 등을 이용한 다양한 북한 인권 침해 기록과 정보는 인권에 초점을 맞추는 미국 정부의 노력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전직 인권 관리들은 말했습니다.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김선명 / 영상편집: 강양우)
북한 내 인권 침해 장소와 사건 정보를 구글 위성 지도 위에 시각화해 제공하는 사이트가 최근 새롭게 단장돼 개설됐습니다. 미국의 전직 관리는 디지털 기술 등을 이용한 다양한 북한 인권 침해 기록과 정보가 인권에 초점을 맞추는 미국 정부의 노력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습니다.
국제 컨설팅 업체가 북한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전년 대비 2.5%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지난해 기록적인 역성장에 따른 기저효과 때문이라며 북한 경제는 올해도 암울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북한의 군 복무기간이 2년 정도 단축됐다는 한국 국정원 보고에 대해 탈북 군인들은 믿기 힘들다면서도 사실이면 긍정적 진전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한국과 비교해 여전히 대여섯 배 격차가 있는 만큼 복무기간을 훨씬 더 줄여 젊은이들의 꿈과 행복권을 배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이어졌습니다.
한국에 정착한 탈북 청소년들의 우울증 수치가 높으며 감정을 억제할수록 우울증이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국제 저널에 실렸습니다. 탈북 과정에 겪은 심리적 압박과 한국 내 소외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좀 더 세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유엔 인권기구와 국제 인권단체가 북한 정권의 연좌제 문제에 관해 VOA에 우려를 나타내며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한국에 망명한 북한 전직 외교관이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밝힌 연좌제에 대한 우려는 타당하며, 북한 정권에 연좌제 보복 행위를 중단하라는 것입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이상훈 / 영상편집: 강양우)
유엔 인권기구와 국제 인권단체가 북한 정권의 연좌제 문제에 관해 VOA에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한국에 망명한 북한 전직 외교관이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밝힌 연좌제에 대한 우려는 타당하며, 북한 정권에 연좌제 보복 행위를 중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동아시아 국가들이 지난해 4분기부터 코로나로 침체된 세계 무역의 회복을 주도하고 있지만, 북한의 지난 4분기 교역은 훨씬 더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중국과 교역하는 유엔 회원국 중 국경을 전면 봉쇄하고 대중 교역액이 전년보다 80% 이상 감소한 국가는 북한이 유일했습니다.
최근 쿠데타를 일으킨 미얀마 군부와 북한 정권은 모두 반인도적 범죄 등 중대한 인권 범죄에 공통점이 있기 때문에 국제사회가 책임 추궁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이양희 전 유엔 미얀마인권 특별보고관이 말했습니다. 이 전 보고관은 두 세력 모두 자신들의 안위만 생각해 국민이 만성적인 경제난에 시달리고 있다며, 미얀마의 대규모 시위는 과거로 돌아가지 않겠다는 미얀마 국민의 결의를 보여준다고 지적했습니다.
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 위안부를 자발적인 매춘부라고 주장한 미국 하버드대 교수의 논문에 대해 하버드대 안팎에서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논문이 사실과 다른 심각한 결함이 있다는 지적인데요, 학생과 민간단체들의 청원 운동도 확산되고 있습니다.
북한 정권이 주민들에게 투자해야 할 국가 자원을 핵·미사일 등 군사비에 대규모로 지출하고 있다고 미국 중앙정보국이 최근 갱신한 자료에서 지적했습니다. 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새해에도 거듭 강조한 전력 접근성은 전체 인구의 26%로 매우 낮게 평가했습니다.
해외 파견 북한 엘리트들의 자녀들은 인터넷 등 자유로운 세상을 경험했기 때문에 북한으로 돌아가는 것을 극히 꺼린다고 전직 북한 간부 자녀가 VOA에 말했습니다. 비단 엘리트 계층뿐 아니라 일반 주민들도 자녀의 미래를 위해 가족이 함께 탈북하거나 자녀만 한국으로 보내는 사례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은 지구상에서 가장 불의한 곳으로 정의를 세우는 일에 미국과 국제사회가 전념해야 한다고, 미국 국무부 전직 관리가 말했습니다. 지난달 바이든 행정부 출범과 함께 퇴임한 모르스 단 전 국무부 국제형사사법대사는 VOA와의 인터뷰에서 북한 정권의 끔찍한 인권 침해에 대한 책임 추궁이 필요하다며, 바이든 행정부가 안보뿐 아니라 인권과 정의 문제를 함께 다루는 강력한 대북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마이클 커비 전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장이 홀로코스트 희생자 추모의 날을 맞아 북한 정치범수용소 운용 책임자들에 대한 책임추궁과 처벌을 강조했습니다. 데이비드 앨튼 영국 상원의원은 북한 정치범수용소와 옛 나치 정권의 강제수용소가 유사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국제사회가 반인도적 범죄를 막기 위해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김정은 정권 출범 이후 간부들에 대한 처형이 늘고 외화벌이 압박이 거세지면서 해외 파견 외교관과 특수기관 인력의 한국 망명이 증가하고 있다고, 전직 북한 외교관이 말했습니다. 유럽 주재 북한 외교관 출신으로 1997년 한국에 망명한 김동수 박사는 지난 5년 동안 북한 외교관들 외에 특수기관 소속 10여 명이 한국에 망명한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북한 정권이 국 내외적으로 저지른 자의적 구금과 납치, 강제실종 기록을 모은 국제 온라인 데이터베이스가 개설됐습니다. 한국과 스위스 등의 9개 인권단체가 공동으로 참여했는데, 북한 정권의 인권 침해를 끝까지 추적해 진상 규명과 책임을 추궁하면서 북한 당국에 개선을 압박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김선명 / 영상편집: 조명수)
북한 정권이 나라 안팎에서 저지른 자의적 구금과 납치, 강제실종 기록을 모으는 국제 온라인 데이터베이스가 개설됐습니다. 북한 정권의 인권 침해를 끝까지 추적해 진상 규명과 책임을 추궁하며 북한 당국에 개선을 압박한다는 계획입니다.
국제 언론감시기구와 인권단체가 북한 정권의 새 반동사상문화배격법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개인의 독립적인 정보 접근은 누구도 박탈할 수 있는 기본권이라며, 세상에 이미 눈이 뜨인 북한 주민들을 강제로 억누르는 것은 역효과만 초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