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의회가 미국 내 '한국전쟁 전우회 (The
War Veterans Association)'에 '연방정부 승인
(Federal Charter)'을 부여하는 법안을 채택했습니다. 이 법안은 지난
해 9월 상원을 통과한 데 이어 지난 17일 하원 본회의에서 구두표결로
가결됐습니다. 스테니 호이어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번 법안이 미국의 한국전쟁 참전 군인들에게 미국 정부의 끊임없는
감사를 표시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보도에 김근삼 기자입니다.
민주당
밴 카딘 상원의원이 발의한 이 법안은 지난 해 9월 상원을 통과한 데 이어,
이날 하원 본회의에서도 구두표결을 통해 반대 없이 가결됐습니다. 따라서 앞으로 조지
부시 대통령의 승인을 거치면 효력을 갖게 됩니다.
한국전쟁
전우회가 연방정부 승인을 받으면, 연방정부 보훈처
(Department of Veteran Affairs) 에 대표를 보내고 관련 업무를 지원할 수 있게 됩니다.
또 미 의회의 관련 위원회 활동에도 참석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한국전쟁 참전 군인들의
복지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미 '월남전쟁 전우회'
등은 이미 연방정부 승인을 받고 활동 중입니다.
한국전쟁
전우회도 4년 전부터 의회에서 관련 법안 채택을 추진해오다가 올해 결실을
봤습니다.
한편
스테니 호이어 민주당 하원 대표는 17일 성명을 발표하고 법안 채택을 축하했습니다.
호이어
대표는 "이번 법안은 미국의 한국전 참전 군인들에게 정부의 끊임없는
감사를 표시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법안을
발의한 밴 카딘 상원의원은 "한국전은 오랫동안 '잊혀진 전쟁'으로 묘사돼왔다"면서, "법안을 통해 한국전 참전 군인들이 잊혀지지 않았고, 또 우리가 조국을 위한 그들의 희생에 감사한다는
것을 알리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루이스 디처트 한국전쟁 전우회 회장도 성명을 통해 "하원의 법안 채택은 협회 입장에서 역사적인 순간"이라면서
"연방정부 승인을 감사한 마음으로 받고, 의회가 부여한 의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노력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 의회 자료에 따르면 한국전쟁에는 5백70만 명의 미국인이 참전했으며, 현재 1백20만 명이 생존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