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제개발처 ‘식량위기 따른 인도적 지원 확대’ 추진

미국은 전세계적인 식량 위기 상황을 맞아 인도적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국무부 산하 국제개발처 USAID의 고위 당국자가 어제 미 의회 상원 청문회에서 밝혔습니다. 청문회에 참석한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 WFP의 조셋 시란 사무총장은, 전세계 30여개 국이 식량 부족으로 인해 기아 뿐만 아니라 평화와 안보도 위협받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근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미 의회 상원 외교위원회는 14일 국제 식량위기에 관한 청문회를 열고, 전세계가 직면한 식량위기의 심각성과 미국 정부의 대응 방안에 관해 논의했습니다.

청문회 증인으로 나선 세계식량계획, WFP의 조셋 시란 사무총장은 최근 국제 식량 가격이 급등하면서, 빈곤층 주민들이 많은 고통을 겪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시란 사무총장은 “WFP가 아시아 지역에서 쌀을 구입하는 가격은 지난 2월 톤 당 4백60달러에서 5주만에 7백80달러로 올랐고, 불과 몇 주 후에는 1천 달러가 됐다”면서 “식량 가격의 급격한 상승은 1달러나 50센트 미만으로 하루를 사는 사람에게는 재앙적 상황이 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같은 식량 위기는 단순히 기아 뿐만 아니라 한 국가의 평화와 안보마저 위협하고 있다고 시란 사무총장은 밝혔습니다.

시란 사무총장은 “언론보도를 보면 아이티의 심각한 폭동은 정부의 붕괴를 유발하고 있다”면서 “30개국 이상 이 식량 부족으로 인해 기아 뿐만 아니라 평화와 안보 위협마저 겪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날 청문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최근의 전세계적 식량 위기가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경제성장과 인구 증가, 곡물을 이용한 대체에너지 개발 등으로 식량 수요는 증가했지만, 가뭄과 농업기술에 대한 투자 부족, 개발에 따른 농지 감소로 오히려 공급은 줄어들었습니다. 여기에 유가가 급등한 것도 식량 가격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미 국무부 산하 국제개발처, USAID의 헨리에타 포어 처장은 미국 정부가 이런 식량 위기에 대응해서 인도적 지원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포어 처장은 “미국은 식량난에 대응해 단기, 중기, 장기의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우선 심각한 식량 위기에 처한 지역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늘이고, 주요 식품의 생산 증대를 통해 근본적인 식량난 해소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식량 가격 안정에 도움이 되는 무역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포어 처장은 이어 부시 행정부가 국제적 식량 위기에 대응해 7억7천만 달러의 예산을 신청했다면서, 의회의 승인을 촉구했습니다.

한편 조셉 바이든 상원 외교위원장은 미국의 해외 농업 지원 예산이 지난 20년 간 꾸준히 감소했다면서,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기본적인 투자가 부족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바이든 위원장은 “지원국들은 식량 상황 안정을 위한 일관적인 전략이 부족하며, 미국의 대응도 뒤늦고 혼란스러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의 소리, 김근삼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