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북 핵 신고 사안 따라 분리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이 북한이 핵 신고 의무를 실질적으로 이행해야만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가 이뤄질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라이스 장관은 17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핵 신고와 관련한 미-북간 협의 사항 중 일부가 공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도 처음으로 시사했습니다.

한편 데니스 와일더 미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 아시아담당 선임보좌관도 이날 북한의 핵 확산은 6자회담에서 규정한 핵 신고와는 다른 방법으로 다뤄질 문제라는 입장을 밝히는 등, 부시 행정부에서 북한의 핵 신고를 내용에 따라 분리해 추진하는 듯한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이 6자회담을 통한 한반도 비핵화 진전에 관해 ‘여전히 조심스러운 부분이 남아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라이스 장관은 17일 국무부에서 특별 기자회견을 열고 “6자회담을 통한 진전이 있었다”면서 “하지만 여전히 조심스럽고 의심스러운 부분이 남아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과 북한은 이달 초 싱가포르에서 회담을 갖고 6자회담 진전의 걸림돌이 돼온 북한의 핵 신고 등 2단계 조치를 마무리하는 방법에 합의했습니다.

6자회담 합의에 따르면 2단계 조치로 북한은 완전하고 정확한 핵 신고서를 제출하고, 미국은 테러지원국 지정 등 북한에 대한 제재를 해제하기 위한 조치를 시작해야 합니다.

라이스 장관은 북한에 대한 제재해제 시점과 관련해, 북한이 핵 신고 의무를 실질적으로 이행했는지 확인한 후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라이스 장관은 “북한이 의무를 실질적으로 이행한다면, 북한에 대한 제재 해제 등 미국이 취해야할 조치를 취할 것”이라면서 “미국은 북한이 의무를 이행했는지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북한의 핵 신고와 관련해서, 부시 정부가 일부 사항에 대해 별도의 비공개 신고를 추진하는 듯한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습니다.

이 날 라이스 장관은 핵 신고와 관련한 미-북간 협의 사항 중 일부가 공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처음으로 시사했습니다

라이스 장관은 ‘농축우라늄과 핵 확산 부분도 일반에 공개되느냐’는 질문에 “그 문제는 외교적인 사안이며, 외교적인 사안을 모두 일반에 공개하지는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데니스 와일더 미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 아시아담당 선임보좌관은 북한의 핵 확산 부분에 대해 별도 신고를 받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와일더 보좌관은 17일 기자회견에서 “핵 확산 문제 등은 6자회담에서 합의한 핵 신고 사항과는 다른 방법으로 다뤄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