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미-북, 다음주 평양서 핵 신고 추가 협의


미국과 북한이 북한의 핵 신고와 관련해 다음 주 평양에서 추가 협의를 가질 예정입니다. 한편 션 맥코맥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북한의 핵 신고가 충분하다는 판단이 있기 전까지는 미국의 상응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도 거듭 밝혔습니다. 자세한 소식에 김근삼 기자입니다.

미국 국무부 성 김 한국과장이 핵 신고 문제에 관한 북한과의 추가 협의를 위해 다음주 평양을 방문한다고, 국무부가 18일 밝혔습니다.

션 맥코맥 국무부 대변인은 18일 오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성 김 한국과장이 이끄는 전문가팀이 20일 북한으로 출발하며, 22일과 23일 평양에서 북한 관계자들과 만나 핵 신고 문제를 다룰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의 핵 신고에 관해 추가 협의가 필요하며, 충분한 신고가 이뤄지기 전까지는 상응 조치를 취하지 않겠다는 것도 국무부의 입장입니다.

맥코맥 대변인은 "지난 몇 주간 핵 신고 문제에 관해 많은 대화가 있었지만 여전히 핵 신고의 요소에 관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핵 신고가) 모두 완료되기 전까지는 아무것도 이뤄진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맥코맥 대변인은 이어 "국무부는 북한의 전체 핵 신고 내용을 보기 전까지는 이에 대한 판단을 보류할 것이며, 어떠한 권고도 내놓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북 핵 6자회담 2단계 조치는 지난해까지 완료됐어야 하지만, 북한의 핵 신고 문제와 관련해 3개월 이상 지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북 수석대표들이 이 달 초 싱가포르에서 회담을 가진데 이어, 17일 미국 고위 관리들이 일부 내용을 별도의 비공개 신고로 처리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히는 등 진전 기미가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성 김 과장의 이번 북한 방문에서 미국이 북한의 핵 신고 내용에 만족하면, 미국도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 등을 위한 조치에 돌입하며 조만간 북한의 핵 신고 제출과 함께 6자회담 개최가 가능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편 션 맥코맥 대변인은 최근 논란이 가중되고 있는 핵 신고의 검증과 관련해 2단계 뿐만 아니라 다음 단계에서도 계속 다뤄져야할 문제라면서, 다소 모호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맥코맥 대변인은 ' 검증이 2단계 완료 전에 끝나야 하는지, 아니면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미국의 입장에서 핵 신고는 2단계는 물론이고 3단계에도 포함돼야 한다"면서 "확고한 검증이 6자회담 과정의 부분이라는 데는 모든 당사국들이 동의한다"고 덧붙였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