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부는 20일 환율 관찰대상국에 기존 중국, 타이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독일에 더해 일본을 추가 지정했습니다.
재무부는 이날 반기별로 발표하는 환율 보고서에서 지난해 4분기 외환 거래와 관련해 이들 나라들을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했습니다.
환율 관찰대상국 지정은 대미 무역흑자가 150억 달러를 초과하고, 국내총생산(GDP)의 3%를 넘는 국제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하며, 1년 간 GDP의 2%를 넘는 규모의 달러를 지속적으로 순매수 하는 등의 사례 가운데 2개 이상에 해당하는 나라가 대상입니다.
재무부는 일본과 베트남, 타이완, 독일이 무역과 경상수지 흑자 조건에 부합해 이같이 지정했고, 중국은 무역흑자 규모와 아울러 외환정책에 대한 광범위한 투명성 부족을 이유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지정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싱가포르의 경우 경상수지 흑자와 달러 순매수 관련 조건을 충족했으며, 말레이시아는 경상수지 관련 조건 하나만을 충족했지만 지난 11월 관찰대상국 지정에 이어 1차례의 추가 관찰 기간 적용 조건이 있어 관찰국 상태를 유지했다고 밝혔습니다.
위 3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지정되는 ‘환율조작국’은 지난해 11월과 마찬가지로 없었던 것으로 판단했다고 재무부는 덧붙였습니다.
미국은 2015년 제정된 무역촉진법에 따라 미국과의 교역 규모 기준 상위 20개국의 환율정책 등을 토대로 환율 관찰대상국을 지정 또는 해제해 왔습니다.
VOA 뉴스
*이 기사는 Reuters를 참조했습니다.
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