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한국 국방차관 "북한, 언제든 추가 핵실험 가능"

한국 국방차관 "북한, 언제든 추가 핵실험 가능"


백승주 한국 국방부 차관. (자료사진)
백승주 한국 국방부 차관. (자료사진)
백승주 한국 국방부 차관은 북한이 언제든지 추가 핵실험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언제든 한국에 피해를 줄 수 있을 정도의 군사적 수준에 이르렀다고 평가했습니다. 서울에서 한상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백승주 국방차관은 17일 한국 상주 외신기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세 차례 핵실험을 한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통해 핵 보유국으로 인정 받으려 한다면서 언제든지 추가 핵실험을 할 준비가 돼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북한의 핵무기 소형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언제든지 한국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다고 분석했습니다.

[녹취: 백승주 한국 국방부 차관]“언제든지 핵무기를 전술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북한이 공식적 입장으로 내놓고 있고, 전술적으로 북한이 언제든 우리에게 피해를 강요할 수 있는 그러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백 차관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재연기 문제에 대해서는 미-한 양국이 결론을 빨리 내면 낼수록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목표 연도가 2년여 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빠른 대응 준비가 필요하다는 설명입니다.

백 차관은 전작권 전환에는 군사적 준비는 물론 전환 이전과 이후에 안보적 공백이 없어야 한다는 대전제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따라 북한의 여러 공세적 대남정책을 감안했을 때 2015년 12월이 최선인가 하는 부분에 대해 미국과 재검토를 논의하는 과정에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백승주 한국 국방부 차관]“결론을 빨리 얻으면 얻을수록 좋다고 생각합니다. 2년여 남은 목표연도를 생각한다면 어떤 결론이든 양국 정부가 빨리 내는 것이 좋다, 이런 입장을 갖고 있습니다.”

백 차관은 또 전작권 논의가 한반도 대화 국면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의 핵과 대량살상무기 등 본질적 문제에 전혀 변화가 없기 때문이라는 설명입니다.

백 차관은 이와 함께 대화 분위기 조성 등 최근 북한이 달라진 태도를 보이는 데 대해서는 한국 정부가 원칙 있는 대응을 한 것, 그리고 중국의 지도자가 바뀌면서 주변국의 대북 메시지가 분명해졌다는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백 차관은 또 북한의 화학무기 보유에 대해서는 유엔의 시리아 화학무기 사용 공식 발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국제사회가 이를 용인하지 않을 것이며 이는 북한의 화학무기 정책에도 상당한 영향을 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VOA 뉴스 한상미 입니다.
XS
SM
MD
LG